AI 재생성 기사
롯데손보, 당국과 '건전성 평가' 공방 격화…FC들은 주목해야
금융당국과 롯데손해보험 간의 건전성 평가 충돌이 업계의 시선을 집중시키고 있다. 5일 금융위원회 정례회의에서 롯데손보에 대한 경영개선권고가 결정되자 해당사는 "객관성 없는 평가"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번 조치는 금융감독원의 경영실태평가(RAAS)에서 자본적정성 부문 4등급(취약) 판정을 받은 데 따른 후속 조치다.
특히 논란의 핵심은 "비계량평가"다. 롯데손보는 "지난해 6월 계량평가에서는 자본적정성 3등급을 기록했으나, 비계량 항목에서 강등되며 권고 대상이 됐다"고 주장했다. 반면 금감원은 "기본자본비율(-9.5%)이 업계 평균(106.8%) 대비 현저히 낮고, 리스크 관리 체계 등 전반적 건전성이 미흡하다"고 반박했다. 서창대 금감원 보험검사2국장은 "ORSA(자체위험평가제도) 도입 유예 등 종합적 판단이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FC들이 주목할 점은 이번 사태가 고객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이다. 금융위는 "보험금 지급이나 신규 계약에는 문제가 없으며, 지급여력비율도 100% 이상으로 안정적"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롯데손보는 향후 2개월 내 자본 증액, 비용 절감 등의 개선계획을 제출해야 하며, 미이행 시 경영개선요구로 조치가 강화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사례는 모든 손보사가 자본 관리와 리스크 평가 시스템을 점검해야 한다는 신호"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일부 FC들은 "고객 상담 시 회사의 재무 안정성에 대한 질문이 늘어날 것"이라며 대응 매뉴얼을 준비 중이다. 롯데손보노조는 행정소송을 예고하며 11일 임시이사회를 소집할 계획이다.
당국과 보험사의 공방이 장기화할 경우 시장 불확실성이 증폭될 우려도 있다. 금융위 이동엽 과장은 "이번 조치는 선제적 경영 개선을 유도하기 위한 절차"라며 "보험업계 전반의 건전성 강화가 궁극적 목표"라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향후 다른 보험사에도 유사 평가가 확대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만큼, FC들은 관련 동향을 면밀히 추적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