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해 365번 넘게 병원방문' 5년간 1.2만명…건강염려증 1.8만명

한 해에 365번 이상 병원을 찾아 외래 진료를 받은 환자가 지난 5년간 1만 2천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하루에 한 번 이상 병원을 방문한 셈으로, 과도한 의료 이용이 새로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n\n 같은 기간 건강염려증으로 진단받은 환자도 1만 8천 명에 이르렀다. 건강염려증은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해 지나치게 걱정하는 정신과적 질환으로, 불필요한 의료 검사를 반복하거나 과도한 병원 방문을 유발하는 특징이 있다. \n\n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명옥 의원실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

최신 기사

  • 2

    환율, 연휴 직후 1,420원대로 치솟아…5개월여 만에 최고

    달러 강세가 본격화하며 원/달러 환율이 추석 연휴 직후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10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23.8원 오른 1,423.8원을 기록하며, 지난 5월 2일 이후 약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n\n추석 연휴 기간 주...

  • 3

    허위 서류 제출해 보험금 챙긴 '위장환자' 징역형

    허위 서류로 보험금을 편취한 '위장환자'들이 법정에서 엄중한 처벌을 받았다. 부산지법 형사4단독은 최근 보험사기방지 특별법 위반과 위조 사문서 행사 혐의로 기소된 A씨에게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했다. 같은 혐의로 기소된 B씨는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받으며 조직...

  • 4

    졸음운전 99% 줄이는 DMS…화물차·승합차 교통사고 해법 될까

    최근 화물차와 승합차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대안으로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MDS)이 주목받고 있다. 한국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화물차와 승합차 사고는 총 18만1천261건에 달했다. 특히 졸음운전으로 인한 사고가 대부분을 차...

  • 5

    [전문분석] 보이스피싱 피해 확산, 보험업계의 기술적·교육적 대응 강화 시급

    최근 보이스피싱 사기 사례가 반복되면서 보험업계 내 피해자 중심 대책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보험금을 노린 사기 수법이 증가함에 따라 고객과 보험설계사 모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업계 관계자들은 피해 예방을 위한 시스템 개선과 고객 교육의 중요...

  • 6

    [전문분석] 자동차보험사기 급증, 브로커와 병원 공모 사례 주목

    자동차보험사기 중 병원 치료비 과장 청구가 2025년 상반기 140억원으로 급증하며 전년 동기 대비 8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브로커와 병원의 공모로 이루어지는 허위입원 및 한약 처방 사례가 증가하면서 보험업계 종사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금융감독...

  • 7

    2025년 보험회사 지급여력비율

    2025년 6월 기준 보험회사의 지급여력비율이 경과조치 전 192.1%에서 경과조치 후 206.8%로 증가했다. 주요 생명보험사 중 농협생명이 437.2%로 가장 높은 지급여력비율을 기록했다. 보험감독국은 향후 감독 방향을 강화할 계획이다....

  • 8

    자동차보험사기 "브로커의 은밀한 제안에는 단호하게 거절하세요"

    2025년 상반기 자동차 보험사기 중 병원 치료비 과장 청구가 급증하며, 브로커와 병원의 공모로 인한 허위 청구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보험사기대응단은 소비자들에게 허위입원 제안 거절 및 의사 대면 진료 확인 등 주의사항을 강조했다....

  • 9

    자동차 보험사기 주요 유형 및 대응 방안, FC들이 꼭 알아야 할 사항

    금융감독원은 자동차 보험사기 주요 유형 5가지를 공개하고 보험업계 종사자들의 경각심을 당부했다. 음주운전 은폐, 고의사고 유발, 허위입원 등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보험사기에 대한 대응 전략과 소비자 교육 방안이 제시됐다....

  • 10

    반복되는 보이스피싱, 피해자 중심 대책 시급

    최근 보이스피싱 피해가 반복되면서 보험업계 내 피해자 중심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보험금을 노린 사기 사례가 증가하면서, 고객과 보험설계사 모두가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상황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들은 피해 예방을 위한 시스템 개선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