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재생성 기사
기후위기 시대, 지수형 보험 도입 '속도 차' 나는 한국
AI·위성 활용한 글로벌 트렌드와 국내 현실 괴리
극심한 기후변화로 인해 보험업계의 패러다임 전환이 시급한 상황이다. 폭염과 집중호우 등 이상기후가 빈번해지면서 기존 실손보상 방식만으로는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이런 가운데 기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동 보상하는 지수형 보험이 글로벌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국내 도입은 예산 부족과 제도적 미비로 지지부진한 모습이다.
해외에서는 이미 AI와 위성데이터를 활용한 지수형 보험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카리브해 지역에서는 재해 발생 시 즉각적인 보상이 이뤄지고, 미국과 유럽에서는 첨단 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상품이 출시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 규모가 10년 새 3배 이상 성장할 전망인 점을 고려하면, 이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보험업계의 화두다.
하지만 국내 상황은 다르다. 환경부가 2026년 시범사업을 위해 신청한 100억 원 예산 중 확정된 금액은 고작 3억 원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연구용으로만 사용될 예정이라, 실제 보험 상품 출시까지는 요원한 상태다. 금융당국의 신중한 태도도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기후 스트레스 테스트 의무화에 대해 "다양한 변수 검토가 필요하다"며 소극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지수형 보험의 장단점에 대해 팽팽한 의견을 내놓고 있다. 일각에서는 AI 기반 설계로 보험금 지급 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쪽에서는 지역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를 지적한다. 특히 평균값을 기준으로 보험금이 결정되다 보니 실제 피해 규모와 괴리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 FC들에게는 상담 시 고려해야 할 요소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지수형 보험이 만능 해결책은 아니지만, 기존 보험과의 시너지 효과를 노릴 수 있다"며 점진적인 도입을 주장했다. 환경부도 민간과의 협력을 통해 제도 정착을 모색 중이지만,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정책 지원 없이는 해외와의 격차가 더 벌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FC들은 기후 리스크에 대응한 새로운 상품 흐름을 주시하며, 고객에게 적합한 보장을 설계할 준비가 필요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