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재생성 기사
보험업계가 기후변화에 따른 재난 대응 패러다임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지난달 28일 서울 고려대학교에서 열린 ‘재난안전 및 보험교육’에서 한국화재보험협회 이승우 부이사장은 재난관리 방식의 근본적 변화를 촉구하며 새로운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
최근 급변하는 기후로 인해 재난의 양상이 크게 달라지고 있다. 과거에는 예측 가능한 범위 내의 사건으로 여겨졌던 재난이 이제는 극단적 날씨와 대형 산불 등으로 일상화되면서 사회 전반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고 있다. 특히 산불은 계절성을 뛰어넘어 연중·대형화되는 추세로, 도시와 산림 접경지역(WUI)으로 확산하며 국민 생명과 국가 기간망까지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재난관리의 패러다임을 사후 복구 중심에서 사전 예방 및 회복력 강화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부이사장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위험 예측과 보험을 통한 위험 전가, 민관 협력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산불과 같은 재난이 단순한 화재를 넘어 안보 문제로 다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재의 재난 대응 체계에는 상당한 한계점도 존재한다. 기상청, 산림청, 소방,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관리하는 데이터가 파편화되어 있어 통합적인 상황 판단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예산 편성과 정책 평가가 사고 후 복구에 집중되다 보니 사전 예방을 위한 투자 확대가 쉽지 않은 구조적 문제도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선 과제도 제시됐다. 각 기관의 데이터를 인공지능 기술로 융합해 재난 위험을 과학적으로 예측하고 현장 담당자들이 실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 고도화가 필요하다. 또한 재난 발생 시 단순히 원상 복구하는 데 그치지 않고 미래의 재난에 더 강하게 견딜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하는 ‘더 안전하게 복구’ 원칙을 제도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보험업계는 이러한 변화를 선도할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될 전망이다. FC들은 고객들에게 재난 위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사전 예방적 대응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WUI 지역 주민들에게는 산불 보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적절한 보장을 설계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
이번 교육은 보험업계가 기후변화에 따른 재난 대응에서 더 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자리였다. FC들은 변화하는 재난 환경에 발맞춰 고객에게 맞춤형 상담과 솔루션을 제공해야 할 중요한 시점에 직면해 있다. 앞으로도 보험업계의 역할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