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기사
2025년 10월 30일부터 종신보험 사망보험금을 생전에 연금처럼 수령할 수 있는 유동화 상품이 출시된다. 삼성생명, 한화생명, 교보생명, 신한라이프, KB라이프 등 5개 생보사가 첫 출시하며, 2026년 1월 2일부터 전체 생보사로 확대될 예정이다. 이 상품은 10년 이상 납부 완료된 금리 확정형 종신보험 계약자 대상으로, 월 12만7000원에서 최대 25만3000원까지 연금 형태로 지급된다.
금융위원회는 22일 삼성생명 등 5개 생보사와 '사망보험금 유동화 점검 회의'를 열고 준비 상황을 종합 점검했다. 1차 유동화 대상 계약은 41만4000건, 가입 금액으로는 23조1000억 원 규모다. 대상 계약은 금리 확정형 종신보험의 사망보험금(9억 원 이하) 담보로, 계약·납부 기간이 10년 이상이며 보험료 납부가 완료된 경우 신청할 수 있다.
이 상품은 계약자와 피보험자가 동일하고, 신청 시점에 보험계약대출 잔액이 없는 월 적립식 계약이다. 대상 계약을 보유한 소비자는 23일 문자 또는 카카오톡으로 개별 안내받을 수 있다. 만 55세 이상 계약자는 가입 최소 2년 이후 연 단위로, 사망보험금의 최대 90% 이내에서 신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간 20년·90% 유동화'를 선택해 55세부터 연금을 수령하면 납부 보험료의 164%(월 평균 12만7000원)와 사망보험금 1000만 원을 보장받을 수 있다. 사망보험금 1억 원 보험계약(예정이율 7.5%)에 10년간 총 1872만 원(월 15만6000원)을 낸 40대 여성을 가정한 경우다. 75세에 시작하면 납부 보험료의 325%(월 평균 25만3000원)와 사망보험금 1000만 원을 보장받을 수 있다.
금융위는 사망보험금 유동화 상품이 신규 도입된데다 주로 고령층(55세 이상) 전용 제도인 점을 고려해 시행 초기에는 대면 고객센터나 영업점에서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운영 초기에는 12개월 치 연금을 일시에 지급하는 연 지급형만 가입할 수 있다. 전산 개발이 완료되면 월 지급형과 현물(서비스) 지급형도 출시된다. 연 지급형으로 가입했더라도 월 지급형이나 현물 지급형으로 변경할 수 있다.
소비자들은 유동화 신청 전 보험사로부터 유동화 비율 및 기간에 따른 지급 금액 비교결과표를 받아볼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유동화 중단 또는 조기 종료 신청도 가능하며 이후 재신청도 가능하다. 지급금 수령일로부터 15일, 신청일로부터 30일 중 먼저 도래하는 기간까지 철회 또한 가능하다.
2026년 1월 2일부터는 전체 생보사에서 사망보험금 유동화 상품이 출시돼 유동화 대상이 75만9000건, 가입 금액으로는 35조4000억 원 규모로 확대된다. 연금 개시 전 사망하거나 해지한 경우 보험료 적립액보다 낮은 금액을 지급하는 대신 연금액을 증액하는 '톤틴·저해지 연금보험'은 2026년 초 출시 예정이다.
이번 상품은 고령층의 자금 수요를 충족시키고, 보험금 활용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보험설계사(FC)는 고객에게 이 상품의 장점과 활용 방안을 적극적으로 설명할 필요가 있다. 특히, 연금 수령 시점과 금액을 고려한 맞춤형 상담이 중요하다. 또한, 유동화 비율 및 기간에 따른 지급 금액 비교결과표를 활용해 고객의 이해를 돕는 것이 필요하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이번 상품은 고령층의 자금 수요를 충족시키고, 보험금 활용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보험설계사(FC)는 고객에게 이 상품의 장점과 활용 방안을 적극적으로 설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연금 수령 시점과 금액을 고려한 맞춤형 상담이 중요하며, 유동화 비율 및 기간에 따른 지급 금액 비교결과표를 활용해 고객의 이해를 돕는 것이 필요하다.
📌 원본 문서: pdf_68f9bf76aa9af2.79933099.txt
🔗 원문 링크: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51022/132612708/1
⚙️ 이 기사는 원본 문서의 출처를 기반으로 AI가 재구성하여 작성한 것입니다.
📖 원문의 핵심 내용과 정보를 유지하되, 보험업계 독자를 위해 재편집되었습니다.
※ 정확한 원문은 원본 문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