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재생성 기사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퇴직연금 제도 개선을 위한 국제적 논의의 장이 마련됐다. 지난 22일 인천 인스파이어 리조트 오션타워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 지역 퇴직연금 개선 심포지엄'은 급속한 고령화와 공적연금 재정 부담이라는 공통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한국태평양경제협력위원회와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주최한 이번 행사는 미국태평양경제협력위원회와 AIF APAC과 공동으로 진행됐다.
심포지엄에서는 고령화 속도에 비해 제도 개혁이 늦어지는 아태 지역의 현실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이 논의됐다. 무디스 부회장 리처드 캔터는 "국가 저축률을 높이는 과정에서 연금제도가 민간저축을 유도할 수 있도록 명확한 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민간 자산운용사와의 협력이 효율성과 사회성과를 동시에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안성배 부원장은 "연금저축 확대는 단순한 복지 차원을 넘어 국가 재정건전성과 금융시장 안정성에도 기여한다"며 공공과 민간의 협력이 필수적임을 주장했다. 그는 세제지원과 의무가입제도 개편, 민간 자산운용 혁신 촉진을 주요 과제로 꼽았다.
IMF 국장 알리 압바스는 아태 지역의 공적부채가 전후 최대 수준에 달하며 연금지출이 재정의 가장 큰 부담 요인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그는 연금수급연령 상향, 납입률 조정, 사적연금 병행 등 구조개혁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회 원종현 수탁자책임전문위원장은 국민연금기금이 국내총생산(GDP)의 절반 규모로 성장했다며 운용수익률 제고와 자산다변화를 통한 지속가능성 확보 계획을 공유했다. 그는 투자 포트폴리오의 35% 이상을 해외자산으로 구성하고 ESG와 주주가치 제고 활동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은행 신성환 금융통화위원은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현 제도로는 2050년대 중반 국민연금 기금이 소진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경고했다. 그는 기여율 인상과 지급률 조정 등 구조적 개혁과 함께 주택자산을 활용한 새로운 연금 옵션 도입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퇴직연금이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 인프라임을 확인하는 자리였다. 특히 민간참여 확대와 제도 간 연계를 통해 세대 간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보험업계는 이러한 국제적 논의를 기반으로 새로운 상품 개발과 고객 상담 전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FC들은 고객에게 최신 동향을 알리고 적절한 퇴직연금 상품을 권유함으로써 고령 사회에 대비한 노후 준비를 지원해야 할 것이다.
📌 참고 자료: 보험신문
🔗 원문 링크: https://www.in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6745
⚙️ 작성 방식: 사실 정보만 추출 후 AI 독자적 재작성
🔒 원문의 저작권은 원 언론사에 있으며, 본 기사는 독립적인 2차 저작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