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재생성 기사
보험산업의 대규모 구조 개편이 본격화된다. 금융당국과 보험업계가 손을 잡고 장기적 발전과 국민 신뢰 회복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특히 출산율 저하 문제와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상품 출시가 예고됐다. 이병래 손해보험협회장과 김철주 생명보험협회장은 지난 16일 서울 종로구 손해보험협회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이러한 계획을 밝혔다.
내년 4월부터 시행되는 '저출산 지원 3종 세트'는 출산과 육아휴직 가정에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할 전망이다. 어린이보험 보험료 할인과 보험료 납입유예, 보험계약대출 상환유예 등을 통해 연간 약 1200억원의 소비자 부담 완화 효과가 기대된다. 기존 가입자에게도 일괄적으로 혜택이 제공되어 가입자들의 만족도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지자체 상생상품'도 주목받고 있다. 신용보험과 기후보험 등 인지도가 낮은 상품의 활성화를 위해 약 150억원 규모의 공모가 진행될 예정이다. 지자체와 협력하여 지역 경제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소상공인과 지역 경제를 지원하는 새로운 상품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금융위원회는 보험산업의 장기적 발전을 위해 규제 체계를 단계적으로 개편한다. IFRS17과 K-ICS(킥스) 도입을 통해 건전성 관리 강화에 주력할 계획이다. 또한 생산적 금융과 사회적 수요 대응을 위한 규제 합리화도 추진된다. 이를 통해 보험사의 자본이 생산적 금융으로 흘러들 수 있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FC들에게는 이러한 변화가 새로운 기회이자 도전으로 다가올 전망이다. 고객 상담 시 출산 및 육아 지원 상품의 혜택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소상공인 대상 상품의 필요성을 설명하는 것이 중요해질 것이다. 또한 규제 개편에 따른 상품 구조 변화를 미리 파악하여 고객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FC의 주요 역할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보험업계는 "국민의 신뢰 회복과 생산적 금융 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맺는다면 보험산업은 물론 국가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 참고 자료: 보험신문
🔗 원문 링크: https://www.in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6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