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국감] 한약 첩약 도마…차보험 손해율 개선 기대

자동차보험금 누수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적돼 온 비급여 한약의 불법 사전 조제 문제가 국정감사에서 다시 도마에 올랐다. 한약은 원칙적으로 환자의 개별 진단에 맞춰 제조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원외에서 사전 조제가 대규모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의료비 누수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국민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친다는 지적이다.\n\n15일 국회 보...

AI 재생성 기사

자동차보험금 누수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적돼 온 비급여 한약의 불법 사전 조제 문제가 국정감사에서 다시 도마에 올랐다. 한약은 원칙적으로 환자의 개별 진단에 맞춰 제조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원외에서 사전 조제가 대규모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의료비 누수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국민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친다는 지적이다.\n\n1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은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정은경 장관에게 이 문제를 직접 제기했다. 한 의원은 "비급여 한약의 불법 사전 조제가 자동차보험 손해율을 악화시키는 주요 요인 중 하나"라며 "이를 방치하면 보험료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이어 "국민 건강을 보호하고 보험금 누수를 막기 위해 즉각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n\n현재 한약 사전 조제는 환자 맞춤형 치료 원칙을 훼손하고, 불필요한 의료비 지출을 증가시키는 문제로 꼽힌다. 특히 원외에서 대량으로 조제된 한약이 유통되면서, 환자 개인의 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약물 복용이 만연하고 있다.

이는 치료 효과를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부작용 발생 가능성도 높인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n\n보험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국감 지적이 자동차보험 손해율 개선의 중요한 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불법 사전 조제 문제가 해결되면 비급여 한약 관련 보험금 청구가 줄어들어 손해율이 개선될 것"이라며 "이는 궁극적으로 보험료 안정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국감을 계기로 정부와 보험업계가 협력해 불법 행위를 근절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n\n전문가들은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의 강력한 규제와 함께 보험사의 적극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한 보험 전문가는 "불법 사전 조제를 막기 위해 한약 조제 과정에 대한 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며 "보험사들도 청구 내역을 철저히 검토해 불필요한 지출을 차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 태그
#손해보험
목록으로